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한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가구가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 즉 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사항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소개된 내용 중 하나이며, 경제금융용어 700선의 파일을 다운받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이 외에도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서적으로 출력해서 쉽게 받아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ousehold Debt Risk Index, HDRI)는 가계의 부채 상태와 그에 따른 부실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가계가 얼마나 많은 빚을 지고 있고, 그 빚을 잘 갚아나갈 수 있는지를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는 가계의 부채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가계는 재정 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국가와 금융기관도 경제 전반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용어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배드뱅크 신청 완벽 가이드: 장기연체 소액 채무 조정부터 새출발기금 비교까지 서론: 배드뱅크가 무엇이고, 2025년 지금…
토스 페이스페이 완벽 가이드: 얼굴로 1초 결제, 등록·보안·사용처까지 아래 글은 토스 공식 안내와 보도자료, 주요…
추석 KTX 예약, 2025년 바뀐 일정에 맞춘 ‘성공 예매’ 가이드 1) 2025 추석 KTX 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