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 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와 있게 된다. 1인당 가계총처분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가계부문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로 가계의 구매력을 가장 정확히 가늠해 볼 수 있는 소득지표이다.
상기 사항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소개된 내용 중 하나이며, 경제금융용어 700선의 파일을 다운받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이 외에도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서적으로 출력해서 쉽게 받아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가계처분가능소득은 가정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돈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가계처분가능소득이란 세금, 연금, 사회보험료 등을 다 빼고 나서 가정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입니다. 이 돈으로 우리는 생활비를 쓰고, 저축도 하고, 여가 생활도 즐깁니다.
이렇게 필수 지출을 빼고 남은 돈이 바로 가계처분가능소득입니다.
가계처분가능소득은 가정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돈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여유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돈이 많을수록 가정은 더 많은 소비를 할 수 있고, 저축도 늘릴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 소득이 줄어들면, 가정의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한 가정의 총소득이 500만 원이고, 세금과 사회보험료로 100만 원을 냈다면, 가계처분가능소득은 400만 원입니다. 이 400만 원이 실제로 가정이 매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돈이 되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가계처분가능소득은 가정의 실제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소득이 높아지면 가정의 경제적 안정성이 높아지고, 소비와 저축 여력도 커지게 됩니다.
이 외에도 다른 용어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배드뱅크 신청 완벽 가이드: 장기연체 소액 채무 조정부터 새출발기금 비교까지 서론: 배드뱅크가 무엇이고, 2025년 지금…
토스 페이스페이 완벽 가이드: 얼굴로 1초 결제, 등록·보안·사용처까지 아래 글은 토스 공식 안내와 보도자료, 주요…
추석 KTX 예약, 2025년 바뀐 일정에 맞춘 ‘성공 예매’ 가이드 1) 2025 추석 KTX 예약…
아이폰17 에어·아이폰 17·아이폰 17 프로·아이폰 17 프로 맥스 총정리: 아이폰 16과 무엇이 달라질까요? 아래 내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