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은 기업의 회계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한 국제적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가 제정한 회계처리기준을 말한다. 자본시장개방 등 전세계의 글로벌화 진전 등으로 국제적으로 통일된 회계기준의 필요성이 증가한데다, 특히 2002년 발생한 엔론, 월드콤 등의 회계부정사건을 계기로 국제적으로 회계투명성에 대한 요구도 커짐에 따라 국제회계기준이 마련되었다. 국제회계기준의 핵심원칙으로는 ① 원칙중심의 기준회계 ② 연결재무제표 중심 보고 ③ 공정가치 평가 ④경제적 실질에 기초한 회계처리 등을 들 수 있다. 회계기준 단일화 추세에 따라 전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사용 중이며 우리나라도 국내 회계 투명성에 대한 국제적 신뢰도 저하가 코리아디스카운트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2007년 3월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로드맵 을 발표하였으며 이후 희망기업은 2009년부터, 상장회사는 2011년부터 전면 도입되었다.
상기 사항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소개된 내용 중 하나이며, 경제금융용어 700선의 파일을 다운받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이 외에도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서적으로 출력해서 쉽게 받아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국제회계기준(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은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회계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제정된 규칙과 지침을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국가와 기업들이 일관된 방식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국제회계기준은 회계 정보를 더 투명하고 비교 가능하게 만들어 투자자, 금융기관,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재무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과거에는 각 나라가 자국의 회계 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했습니다. 이는 국가 간의 회계 정보 비교를 어렵게 만들었고, 특히 다국적 기업의 경우 서로 다른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했기 때문에 큰 부담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결과가 바로 국제회계기준(IFRS)입니다.
국제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국제회계기준의 도입 배경은 1973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Committee)가 설립되어 처음으로 국제적인 회계 기준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2001년, IASC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로 개편되었으며, 이때부터 IFRS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회계 기준이 제정되기 시작했습니다.
IASB는 국제회계기준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개정하며, 현재까지 약 140여 개 국가가 이 기준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여 모든 상장기업이 IFRS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국제회계기준은 다양한 재무제표 항목에 대해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지만, 그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제회계기준은 여러 가지 세부 기준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에는 재무제표 작성에 대한 전반적인 지침부터 특정 항목의 회계처리 방법까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제회계기준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도입 및 적용 과정에서 몇 가지 도전과제도 있습니다.
국제회계기준(IFRS)은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회계 기준을 제공하여 재무 정보를 더 투명하고 비교 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재무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IFRS를 도입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복잡성과 비용 등의 도전과제가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회계기준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기업들이 이를 채택함으로써 국제 시장에서 더 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IFRS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다른 용어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배드뱅크 신청 완벽 가이드: 장기연체 소액 채무 조정부터 새출발기금 비교까지 서론: 배드뱅크가 무엇이고, 2025년 지금…
토스 페이스페이 완벽 가이드: 얼굴로 1초 결제, 등록·보안·사용처까지 아래 글은 토스 공식 안내와 보도자료, 주요…
추석 KTX 예약, 2025년 바뀐 일정에 맞춘 ‘성공 예매’ 가이드 1) 2025 추석 KTX 예약…
아이폰17 에어·아이폰 17·아이폰 17 프로·아이폰 17 프로 맥스 총정리: 아이폰 16과 무엇이 달라질까요? 아래 내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