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펼쳐지는 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이 글에서는 대회 개요부터 코스·제한시간·페이스메이커·교통(셔틀)·참가자 물품 발송, 그리고 가장 중요한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기록조회)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처음 참가하시는 분도 이 글만 따라오면 접수 확인부터 기록증 저장까지 막힘없이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대회 한눈에 보기

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 일정: 2025년 11월 2일(일)
  • 장소: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
  • 종목: 하프(21.0975km), 10km
  • 정원: 3,500명(전국민 선착순)
  • 참가비: 하프 35,000원 / 10km 30,000원
  • 제한시간: 하프 2시간 30분 / 10km 1시간 30분
    공식 페이지에 위 항목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으며, 모집·요금·제한시간 정책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참고: 같은 축제 내에 장애물 러닝(평화레이스)·생태걷기체험·캠핑 등이 함께 운영됩니다. 동행 일정이 있다면 서브 프로그램도 확인해 주세요.


교통·집결: 셔틀버스와 접근 동선

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행사장 주소는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48-40(임진각 평화누리). 대회 당일 문산역·대화역 순환 셔틀이 별도 신청 없이 운행되며, 첫차 07:00부터 막차 18:00까지 시간표가 공지되어 있습니다(현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문산역은 1번 출구 앞, 대화역은 4번 출구 뒤 KT 앞 탑승지로 안내되어 있으니, 집결 시간을 역산해 여유 있게 도착하세요. 서울행(사당역) 왕복 셔틀은 신청 미달로 취소 공지되었습니다.

  • 추천 루틴: 셔틀 하차 → 부스 동선 확인(짐 보관·급수·의무) → 배번호·칩 장착 점검 → 10~15분 가벼운 워밍업 → 웨이브 대기
  • 주의: 축제형 행사 특성상 동시 진행 프로그램이 있어 이동 동선이 넓습니다. 현장 표지판과 진행요원 안내를 따르세요.

참가자 물품 발송·칩 안내(중요)

대회 사무국 공지에 따르면 참가자 물품(배번호·기록칩 포함) 은 대회 전 주에 택배로 일괄 발송됩니다. 특히 기록칩은 배번호 뒷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공되니, 수령 즉시 패키지를 열어 구성품과 칩 상태를 확인하세요. 미수령·오배송이 의심되면 바로 운영사무국에 문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페이스메이커: 공식 공지에 목표 페이스(풍선/깃발) 시간표가 공개됩니다. 자신의 목표 기록에 맞는 그룹을 출발 전에 확인해 합류하세요.
  • 공지 채널: 공식 사이트의 공지사항 탭에서 최신 변경사항(셔틀·마감·배송·페이서)을 수시로 확인하면 좋습니다.

코스·제한시간·운영 포인트

하프와 10km 모두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을 달리는 로드 코스입니다. 기록러에게는 페이스 유지가 용이하고, 초보 러너에게는 완주 경험을 쌓기 좋은 동선입니다.

  • 제한시간: 하프 2:30, 10km 1:30. 반환 이후 맞바람이 불 수 있으니 보폭을 줄이고 케이던스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 급수: 코스 곳곳에 배치되며, 컵 사용 방식·간식 제공 여부는 현장 공지를 따릅니다.
  • 안전: 군중이 많은 초반 1~2km는 오버페이스를 피하고, 체온이 오를 때까지 리듬 만들기에 집중하세요.

기록확인(기록조회) — 가장 빠른 2가지 경로

제16회 2025 DMZ OPEN 평화 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1) Smart Chip 결과 페이지 이용

DMZ 평화 마라톤/DMZ 대회는 위의 그림을 클릭하여, 기록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대회 종료 후 위의 링크를 이용하여, 이름 또는 배번호로 검색하면 개인 기록·순위를 조회하고 기록증(PDF/이미지) 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과년도 DMZ 마라톤 결과 예시도 SPCT에서 확인됩니다(‘Net Time 기준 순위’ 고지).

  • 절차 요약: Smart Chip 결과 페이지 접속 → 대회 선택 → 이름/배번호 검색 → 기록·순위 확인 → 기록증 저장
  • 반영 속도: 대체로 당일 저녁부터 익일 새벽 사이 순차 반영됩니다. 즉시 조회가 안 되면 1~2시간 간격으로 재조회하세요.

2) 공식 홈페이지 공지의 결과 링크

대회 측이 공지사항/게시판을 통해 기록 조회 링크 또는 문자 안내를 제공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DMZ OPEN 계열 행사에서는 완주 후 문자 통지·모바일 기록증을 안내하는 전례가 있으니(과거 공지·FAQ 참고) 문자 수신 번호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세요. 최종 안내는 올해 공식 공지를 따릅니다.

팁: Smart Chip 결과 페이지와 공식 공지 채널을 병행 확인하면 누락 없이 가장 빠르게 기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사례로 보는 ‘기록찾기’ 흐름

  • 사례 A(하프 참가자)
    ① SPCT 접속 → ② 목록에서 ‘DMZ 평화 마라톤(2025-11-02)’ 선택 → ③ 배번호 검색 → ④ 개인 기록 확인 → ⑤ 기록증 저장·공유.
  • 사례 B(10km 참가자)
    ① 대회 공지사항에서 ‘기록조회’ 링크 열기 → ② 이름/배번호로 검색 → ③ 순위·넷타임 확인 → ④ 문자로 온 모바일 기록증과 함께 SNS 인증.

레이스 데이(당일) 체크리스트

  1. 집결: 셔틀·주차 동선 확인 후, 출발 40분 전 도착
  2. 장착: 배번호(정면), 칩(배뒤면 부착형) 장착 상태 재확인
  3. 워밍업: 5~10분 조깅 + 러닝 드릴 + 100m 스트라이드 2회
  4. 페이스: 초반 2km 보수적 진입 → 중반 리듬 유지 → 라스트 1km 점진 가속
  5. 완주 후: 급수·회복 → 기록조회(문자/결과 페이지) → 기록증 저장

초보·경험자별 페이스 플랜(간단 버전)

  • 10km 입문형: 0~2km 워밍업 페이스 → 2~7km 페이스 고정 → 7~10km 네거티브 스플릿
  • 10km 기록형: 0~3km 목표페이스+5초/km → 3~7km 케이던스 유지(맞바람 보폭 축소) → 7~피니시 단계적 가속
  • 하프 균형형: 0~5km 여유 진입 → 5~15km 급수 짧고 자주 → 15km 이후 3~4km에 걸친 템포 업

자주 묻는 질문(FAQ)

Q. 기록은 언제부터 확인 가능한가요?
A. 보통 당일 저녁~익일 새벽 사이 SPCT 결과 페이지에 순차 반영됩니다. 공식 공지의 문자·링크도 함께 확인하세요.

Q. 셔틀은 어디서 타나요?
A. 문산역 1번 출구 앞, 대화역 4번 출구 뒤 KT 앞에서 순환 셔틀이 운영됩니다(별도 신청 불필요). 시간표는 공식 페이지의 ‘찾아오시는 길’에서 확인하세요.

Q. 페이스메이커가 있나요?
A. 공식 공지에 목표 시간대 페이서 정보가 게재되어 있습니다. 출발 전 자신의 목표 그룹을 확인해 합류하세요.

Q. 배번호와 칩은 어떻게 받나요?
A. 대회 전 주 택배 발송되며, 칩은 배번호 뒷면 부착형입니다. 수령 즉시 구성품을 확인하세요.


마무리: 준비–완주–기록증까지 한 번에

DMZ OPEN 평화 마라톤은 코스·동선이 깔끔하고 셔틀 접근성도 좋아 러닝 입문자부터 기록러까지 누구나 만족하기 좋은 대회입니다.
(1) 셔틀·집결 확인 → (2) 배번호·칩 점검 → (3) 페이스 전략 → (4) 완주 → (5) SPCT/공지 링크로 기록확인·기록증 저장.
이 흐름만 지키면 첫 참가자도 시행착오 없이 레이스를 즐기고 인증까지 완성할 수 있습니다. 올해 임진각에서 멋진 기록, 좋은 추억 남기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