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지리산 종주 한눈에 보기(코스·거리·지도)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지리산 종주(주능선 종주)는 서쪽 노고단에서 동쪽 천왕봉까지 이어지는 주능선(노고단–반야봉–토끼봉–칠선봉–천왕봉)을 완주하는 산행을 말합니다. 주능선 자체는 약 25.5km이며, 들머리·날머리 접근로를 포함하면 30~45km대로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성삼재–천왕봉–중산리(성중 종주)는 30km대, 화엄사–천왕봉–대원사(화대 종주)는 약 45km로 안내됩니다.

대표 코스는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 화대종주(화엄사→대원사): 약 45km, 지리산 종주 인증 코스로도 널리 쓰입니다.
  • 화중종주(화엄사→중산리): 40km 안팎(접근·하산 거리 포함), 인증제에서도 선택 코스입니다.
  • 성중/성대종주(성삼재→중산리/대원사): 이동·교통 편의로 많이 선택합니다.

화대종주, 화중종주, 성중종주, 성대종주를 나누는 기준은 출발점이 화엄사/성삼재로 나눌 수 있고, 도착지는 대원사/중산리로 나누어 종주 이름을 붙입니다. 노고단부터 반야봉, 토끼봉, 칠선봉, 천왕봉을 잇는 주능선은 모두 동일합니다. 저의 경우에도 지리산 종주를 했었고, 화대종주 코스로 2박 3일간 등산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날씨가 너무 않좋아서 천왕봉이 입산통제가 되어 오르지 못하고, 대원사로 내려왔었습니다. 가실때 꼭 날씨도 한번 체크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화대종주 : 화엄사 → 대원사를 잇는 종주

화중종주 : 화엄사 → 중산리를 잇는 종주

성대종주 : 성삼재 → 대원사를 잇는 종주

성중종주 : 성삼재 → 대원사를 잇는 종주

지리산 종주 지도는 아래의 다운로드를 이용하여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일정 설계: 지리산 종주 코스(1박 2일 / 2박 3일)

아래는 “체력 좋은 일반 산행자” 기준의 예시입니다. 실제 시간·거리는 개인 체력·배낭 무게·계절(적설/결빙)·통제 시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입산시간 지정제와 대피소 예약(추첨제)을 먼저 확인하세요.

지리산 종주 코스 1박 2일(예시 2안)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1. 성중 종주(성삼재→천왕봉→중산리)
  • 1일차: 성삼재(들머리)→노고단→화개재→연하천대피소→벽소령대피소(또는 세석대피소 숙박)
  • 2일차: 세석/벽소령→장터목대피소→천왕봉→로터리대피소→중산리 하산
    핵심 포인트: 첫날 벽소령(14km대)에서 멈추면 여유 있고, 세석(20km대)까지 가면 둘째 날 장터목–천왕봉–중산리가 수월합니다. 구간별 표지 거리·대피소 간 거리는 공개된 거리표·GPX 자료로 미리 쪼개 보세요.
  1. 화중 종주(화엄사→천왕봉→중산리)
  • 1일차: 화엄사→노고단→연하천/벽소령(숙박)
  • 2일차: 벽소령/세석→장터목→천왕봉→중산리
    핵심 포인트: 화엄사 들머리는 초반 고도를 단숨에 끌어올려 초반 피로도가 큽니다. 대신 대중교통 접근이 좋아 선호도가 높고, 인증 스탬프 동선과도 잘 맞습니다.

지리산 종주 코스 2박 3일(예시 2안)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1. 화대 종주(화엄사→천왕봉→대원사)
  • 1일차: 화엄사→노고단→연하천(숙박)
  • 2일차: 연하천→벽소령→세석(숙박)
  • 3일차: 세석→장터목→천왕봉→치밭목→대원사 하산
    핵심 포인트: 총 45km 안팎의 왕도 코스. 세석–장터목–천왕봉 구간은 암릉·돌길이 이어져 야간·결빙 시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1. 성대 종주(성삼재→천왕봉→대원사)
  • 1일차: 성삼재→노고단→연하천/벽소령(숙박)
  • 2일차: 벽소령→세석→장터목(숙박)
  • 3일차: 장터목→천왕봉 일출→치밭목→대원사
    핵심 포인트: 장터목에서 천왕봉 일출을 보고 내려오는 클래식 루트. 장터목–천왕봉–로터리–중산리/치밭목–대원사로 갈라지는 갈림을 사전에 숙지하세요(등로 안내판·공식 지도 참고).

TIP(시간·거리 가늠): 공개된 구간 거리표를 엑셀에 옮겨 “구간별 속도×휴식”으로 개인화하면 실패 확률이 줄어듭니다. 예: ‘성삼재→세석 20.4km, 세석→장터목 3~4km, 장터목→천왕봉 5km 내외, 천왕봉→중산리 6~7km’ 식으로 묶어서 총량을 계산해 보세요.


지리산 종주3 대피소·예약·입산시간·통제(필수 체크)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지리산 종주 대피소와 예약(2025년부터 연중 추첨제)

지리산 주능선에서 종주 때 주로 이용하는 대피소는 노고단·연하천·벽소령·세석·장터목·로타리·치밭목(피아골 포함) 등입니다. 2025년 7월 사용일부터 전국 국립공원 대피소 13곳이 “연중 추첨제”로 전환되어 선착순이 아닙니다. 추첨 접수·발표·결제 일정은 국립공원 예약시스템 공지에서 월별로 확인하세요.

대피소 요금·정원·판매물품은 대피소별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장터목 대피소는 주중·주말 요금이 1.2만~1.3만원대이며, 정원·판매 품목(생수·간단 비상식량·헤드랜턴 등)이 공지되어 있습니다. 샤워 시설은 없고, 지정된 공용 취사장 외 취사·실내 화기사용은 금지됩니다(음주 단속 병행).

입산시간 지정제(야간산행 금지)와 체크인

지리산은 탐방로별로 “입산 가능 시간”과 “통과 제한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하절기(대개 4~10월)와 동절기(11~3월) 기준이 다르며, 구간별로 “몇 시 이전 특정 지점 통과” 같은 제약이 있습니다. 반드시 사전에 ‘입산시간 지정제’ 표를 확인하고, 대피소 예약자에게 부여되는 일부 연장 규정(구간별 상이)도 함께 점검하세요.

산불조심 기간(봄·가을) 통제

매년 봄·가을에는 산불예방을 위해 일부 탐방로가 통제됩니다. 2025년 봄철 지리산은 대체로 2월 15일~4월 30일 통제 공지가 있었고, 가을에도 별도 통제 기간이 운영됩니다. 실제 통제 구간·기간은 연도·공원사무소별로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최신 공지·지자체 안내를 확인하세요.


지리산 종주 준비물(시즌별 체크리스트)과 안전 팁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기본 장비

  • 배낭 35~45L(1박2일)·45~60L(2박3일), 방수커버
  • 베이스레이어+보온 중간층(경량 패딩/플리스)+방풍·방수겸용 쉘(우중·강풍 대비)
  • 트레킹화(접지 좋은 중등산화 권장), 여분 양말·방한모·장갑(계절대응)
  • 헤드랜턴(예비 배터리), 지도·GPX(보조 배터리 포함), 호루라기
  • 물 2~3L(수시 보충), 전해질 파우더, 행동식(젤/에너지바/너츠), 비상식량 1끼 분량
  • 구급·상비약(물집·염좌·소염진통), 테이핑, 간이 압박붕대
  • 스토브·코펠·라이터(지정 취사장 외 사용 금지), 쓰레기 봉투, 개인 위생·수면용품(침낭 내피 등)

현장에서는 “대피소 취사장은 가능, 실내 화기사용·지정 외 취사·음주 금지” 원칙이 엄격히 단속됩니다. 쿡셋은 가볍게, 음식은 끓이기 쉬운 형태로 준비하세요. 여름철이라도 꼭 겨울용 패딩도 한벌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중시나 밤에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챙겨가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계절별 팁

  • 여름: 탈수·저염증 예방(전해질), 오후 뇌우 대비 방수·팩커블 우의 필수.
  • 가을: 일교차·강풍·결빙 구간 대비 방풍·보온 동시 준비. 단풍철 혼잡·단속 강화에 유의.
  • 겨울/초봄: 아이젠·스패츠·보온 장갑·버프. 새벽 한파·결빙 바위길에 시간 여유 확보. 입산시간·통제 구간 변동 체크.

사례로 보는 준비 포인트

  • 1박2일 성중 종주에서 첫날 벽소령까지만 가도 둘째 날 장터목–천왕봉–중산리가 수월합니다. 무리한 첫날 세석 진입은 야간보행 리스크를 키울 수 있어요. 구간 거리표로 본인 페이스를 먼저 계산하세요.
  • 2박3일 화대 종주라면 연하천·세석·장터목 순이 가장 무난합니다. 세석–장터목–천왕봉 구간은 사진·일출 관측으로 체류 시간이 늘어나는 구간이라 시간 관리가 중요합니다.

지리산 종주수첩(인증제)·요령·마무리 체크리스트

2025 지리산 종주 완벽 가이드: 코스·거리·대피소·지도·준비물·일정(1박2일/2박3일)

지리산 종주수첩(구례군 인증제)

구례군은 지리산 종주 인증제를 운영합니다. 온라인으로 종주수첩(유료, 보통 1만원)을 신청하면 우편으로 발송해 주며, 지정 인증센터(대피소·탐방안내소 등 7개소)에서 도장을 받아 완주 후 보내면 인증서·메달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자료 기준으로 화대·화중 코스 선택 인증이 가능하니, 신청 게시판 공지와 참여 안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신청은 구례여행 ‘지리산종주인증제’ 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참여신청 게시판에 본인인증 후 접수합니다. 현행 운영·비용·발송 일정은 게시판 공지·Q&A에서 수시로 업데이트되니 신청 전 최신 글을 확인하세요.

마지막 점검(빠른 체크리스트)

  • 지리산 종주코스와 거리 가늠: 성중 30km대, 화대 45km 안팎, 주능선 자체 25.5km.
  • 지리산 종주 지도·GPX 확보: 주능선·하산로 변형 대비(오프라인 저장 권장).
  • 대피소 예약: 2025년부터 연중 추첨제(월별 일정 확인·결제 시한 준수).
  • 입산시간 지정제: 구간별 통과 제한 시각 준수(대피소 예약 시 일부 연장 규정 확인).
  • 산불조심 통제기간: 봄·가을 통제 공지 필수 확인.
  • 종주수첩: 구례군 인증제 신청→스탬프→완주 인증·메달 수령.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