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출산 육아 지원제도)와 혜택이 새롭게 시행됩니다. 이번 제도 변경은 가정의 부담을 줄이고,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일환입니다. 아래에서 주요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2025년부터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출산지원금이 다음과 같이 인상됩니다:
육아휴직 급여가 기존보다 대폭 개선됩니다:
양육비 지원 제도가 확대되어 부모의 부담이 줄어듭니다.
구분 | 제도 | 내용 |
임신기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인 임신 근로자는 1일 최대 2시간 근로시간 단축가능(*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의사의 진단 받은 경우 임신 전기간 단축 가능) |
난임치료휴가 | 연간 6일(최초 2일 유급) 사용가능 중소기업 근로자는 난임치료휴가 최초 2일에 대해 정부가 급여 지원 | |
출산기 | 출산전후휴가 | 출산 전후로 90일(다태아 12일) 휴가 사용 가능 (* 대기업 근로자는 30일, 중소기업 근로자는 90일 출산전후휴가급여(월 최대 210만원) 지급) 미숙아 출산 시 출산전후휴가 100일 사용 가능 |
배우자 출산휴가 |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사용가능 중소기업 근로자는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전체에 대해 정부가 급여 지원 최대 세 번에 나눠(3회 분할) 사용 가능 배우자가 출산한 날부터 120일 이내 사용 | |
육아기 | 육아휴직 | 자녀 한 명당 최대 1년 6개월 사용 가능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시 또는 한부모 또는 중증장애아동 부모) 부모 각각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부부 합산 월 최대 500만원) 자녀 생후 18개월 내, 부모 함께 육아휴직 사용시, 부모 각각 월 최대 450만원(부부 합산 월 최대 900만원)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 12세(초6)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는 최대 3년까지 근로시간 단축 가능 매주 최초 10시간 단축분의 경우 월 최대 55만원 지원 최소 사용단위기간 1개월 (종전 3개월) |
모든 지원 제도는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출산·육아 지원 제도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부모와 아이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출산 및 육아를 준비 중인 가정은 이번 변경 사항을 잘 확인하고, 필요한 지원을 빠짐없이 받으세요.
상생페이백 2025 완벽 가이드: 신청·조회·예상금액·사용처까지 정부 보도자료와 공식 누리집을 확인해 상생페이백의 신청기간, 조건, 산정방식, 지급일,…
배드뱅크 신청 완벽 가이드: 장기연체 소액 채무 조정부터 새출발기금 비교까지 서론: 배드뱅크가 무엇이고, 2025년 지금…
토스 페이스페이 완벽 가이드: 얼굴로 1초 결제, 등록·보안·사용처까지 아래 글은 토스 공식 안내와 보도자료,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