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안정계정은 금융시장 유동성 조절을 위한 일종의 기한부 예금(term deposit)이다. 동 계정은 국외부문 등으로부터의 과잉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강제예치방식으로 활용되다가 1990년대 이후 금융시장의 발달, 환매조건부증권매매(RP) 등 시장친화적인 공개시장운영수단의 정착 등으로 그 활용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RP매각에 필요한 보유증권의 한계, 통화안정증권 발행 누증에 따른 부작용(이자부담 증가, 시장수요제한 등) 등으로 보다 효과적인 유동성 관리를 위하여 기한부 예금인 시장친화적인 통화안정계정을 2010년 10월 도입하였다.
통화안정계정은 담보 없이도 단기유동성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동 예치금은 중도해지, 제3자에 대한 양도 및 담보제공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안정증권에 비해 유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한국은행은 통화안정계정을 단기 유동성조절 수단으로만 활용하고 있으며 그 활용 비중도 RP나 통화안정증권에 비해 낮은 편이다. 현재 한국은행의 만기별 유동성조절 수단을 보면 초단기(만기 14일 이내) 구간에서는 RP매매를, 단기구간(만기 15~91일)에서는 통화안정계정을, 그 이상은 통화안정증권(91일, 182일, 1년, 2년이 주된 만기임)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사항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소개된 내용 중 하나이며, 경제금융용어 700선의 파일을 다운받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이 외에도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서적으로 출력해서 쉽게 받아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통화안정계정(Currency Stabilization Account)은 중앙은행이 시장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조절하여 경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운용하는 계정입니다. 물가 상승이나 환율 변동이 클 때 중앙은행은 통화안정계정을 활용해 시장의 통화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물가 안정과 환율 균형을 유지하려 합니다. 이러한 정책은 금리 변동과 함께 국가 경제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화안정계정은 주로 통화 매입 또는 매도를 통해 운용됩니다. 경기 과열로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때는 통화 매입을 통해 통화량을 줄이고, 경제 위축으로 통화 공급이 필요할 때는 통화 매도를 통해 유동성을 공급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앙은행은 통화안정계정을 통해 경제 상황에 맞는 유연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통화안정계정은 금융 시장과 실물 경제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며, 물가와 환율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중앙은행은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고 경제 주체들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 경제의 안정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용어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배드뱅크 신청 완벽 가이드: 장기연체 소액 채무 조정부터 새출발기금 비교까지 서론: 배드뱅크가 무엇이고, 2025년 지금…
토스 페이스페이 완벽 가이드: 얼굴로 1초 결제, 등록·보안·사용처까지 아래 글은 토스 공식 안내와 보도자료, 주요…
추석 KTX 예약, 2025년 바뀐 일정에 맞춘 ‘성공 예매’ 가이드 1) 2025 추석 KTX 예약…
아이폰17 에어·아이폰 17·아이폰 17 프로·아이폰 17 프로 맥스 총정리: 아이폰 16과 무엇이 달라질까요? 아래 내용은…
경기청년 결혼지원금, 100만 원으로 시작하는 두 사람의 첫걸음 지원 개요: 왜 지금, 경기도가 청년 신혼부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