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소득세 완벽 가이드: 세율표부터 공제까지

1. 세율 구조 (과세표준별 누진세율)
2025년 소득세의 세율표 및 공제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는 과세표준 구간별로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과세표준 (₩) | 세율 |
---|---|
0 ~ 12,000,000 | 6% |
12,000,001 ~ 46,000,000 | 15% |
46,000,001 ~ 88,000,000 | 24% |
88,000,001 ~ 150,000,000 | 35% |
150,000,001 ~ 300,000,000 | 38% |
300,000,001 ~ 500,000,000 | 40% |
500,000,001 ~ 1,000,000,000 | 42% |
1,000,000,001 이상 | 45% |
산출세액 공식: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2. 2025년 소득세, 인적공제 및 기본공제 확대

- 기본공제: 본인 및 부양가족 1인당 ₩1,500,000 → ₩1,800,000로 확대
- 추가공제 확대:
- 경로우대(70세 이상): ₩1,000,000
- 장애인: ₩2,000,000
- 부녀자: ₩500,000
- 한부모: ₩1,000,000
3. 2025년 소득세, 주택·월세 세액공제 강화

- 주택청약저축 공제 한도: 기존 ₩2,400,000 → ₩3,000,000
- 월세 세액공제 대상 기준 확대:
- 총급여 70 → 80 백만 원 이하로 조건 완화
- 연간 공제한도 ₩7,500,000 → ₩10,000,000
4. 2025년 소득세, 신용카드 사용 공제 개편 및 확대

- 기존: 카드 사용액 중 총급여의 25% 초과분에 대해 15~30% 공제
- 2025년 한시적 추가공제: 2024년 대비 카드 사용액이 5% 초과하면, 초과분의 10%를 최대 ₩1,000,000까지 추가 공제
5. 2025년 소득세, 기타 주요 세액공제

- 자녀 세액공제: 1명 ₩250,000, 2명 ₩550,000, 3명 이상 추가
- 결혼 세액공제: 2024–2026년에 혼인한 경우 1인당 ₩500,000
- 체육시설 이용 공제: 체육시설 월 최대 ₩3,000,000
- 교육비, 의료비, 보험료, 기부금, 연금저축·IRP, 노란우산 공제 등도 적극 활용할 수 있음
6. 계산 과정 요약

- 소득금액 계산: 총소득 – 필요경비 / 근로·연금·기타 공제 적용
- 과세표준 산출: 종합소득금액 – 각종 공제를 적용
- 산출세액 계산: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세액공제 적용 → 결정세액 확정
- 가산세: 신고·납부 지연 시 가산세 부과
- 최종 납부/환급: 결정세액 + 가산세 – 이미 납부한 세금
7. 2025년 소득세, 신고 & 환급 시기

- 종합소득세 신고: 5월 중
- 환급: 신고 후 약 6월 말~7월 초 소득세 환급, 이어 지방소득세 환급
- 국세청 홈택스 및 ‘연말정산 미리보기’ 활용 권장
✅ 절세 전략 팁

- 공제 항목 누락 방지: 인적·주택·신용카드 등 항목별 증빙 철저히 준비
- 카드 사용량 조정: 한시 공제를 활용해 카드 사용액 증가 유도
- 교육·의료·보험비 지출 정비: 교육·의료비 공제 한도 대비 체계적 관리
- 플랫폼 활용: Toss인컴 등 세무 플랫폼으로 간편 신고 및 환급 체크
마무리

2025년 소득세 계산은 기본공제와 공제 항목 확대, 세율 누진구간 조정, 신용카드 한시 추가공제 덕분에 전년도 대비 세 부담이 다소 완화되었습니다.
반드시 증빙과 홈택스 미리보기를 활용하여 정확한 신고 및 최대한의 환급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