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기록확인 가이드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기록확인 가이드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기록확인 가이드

대전엑스포시민광장을 무대로 열리는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은 하프·10km·5km까지 고르게 갖춘 도심 로드 레이스입니다. 이 글은 대회 기본정보부터 코스 특징, 접수·문의, 그리고 가장 많이 찾으시는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기록확인(기록조회) 방법과 사진 찾기까지 한 번에 정리한 안내서입니다. 대회 공식 안내가 수록된 러닝 캘린더와 포토 서비스, 타이밍(기록) 사이트의 정보를 교차 확인하여 작성했습니다.


대회 한눈에 보기

  • 대회명: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 일시: 2025년 11월 2일(일) 09:00 출발, 집결 08:00 권장(공지 기준)
  • 장소: 대전엑스포시민광장(대전)
  • 종목: 하프코스, 10km, 5km(전 종목 기록칩 사용)
  • 주최: 전국마라톤협회 / 문의: 042-638-1080(사무국)
  • 정원·혜택(공지): 선착순 4,000명, 기능성 긴팔 티셔츠+마라톤 양말 제공(대회 공지 기준)

포토 서비스와 타이밍 사이트 일정에도 동일 일시·장소·종목으로 등재되어 있어 사후 기록·사진 확인이 수월합니다.


코스·운영 포인트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기록확인 가이드

도심 평지 위주의 로드 코스로, 기록 도전과 첫 완주 경험 모두에 적합합니다. 직선 구간은 바람 방향에 따라 체감 난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환점 전후 구간에서는 보폭을 약간 줄이고 케이던스를 일정하게 가져가면 페이스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하프는 5km 단위로 구간 목표를 쪼개고, 15km 이후 점진 가속 전략을 추천합니다. 10km는 7km 전후까지 리듬 유지 후 라스트 3km 네거티브 스플릿, 5km는 1km 워밍업→3km 템포 유지→피니시 스퍼트 흐름이 안정적입니다.
출발은 종목별 또는 웨이브로 나뉘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전날 공지의 타임테이블을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접수·문의·현장 체크리스트

  • 접수 기간: 2025년 6월 2일 ~ 10월 14일(공지 기준, 조기 마감 가능)
  • 문의: 사무국 042-638-1080 / 이메일 안내(공지) 및 문의 게시판 활용
  • 집결/동선: 집결 08:00, 번호표·칩 부착 점검 → 가벼운 러닝 드릴·스트레칭 → 웨이브 대기 → 09:00 출발(공지 기준)

사진 촬영 계획이 있다면 포토스포츠 스케줄 등재 여부를 확인해두면 사후 검색이 쉬워집니다.


기록확인(기록조회) 방법 — 가장 빠른 경로

2025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 마라톤대회 기록확인 가이드

본 대회는 타이밍사 SPCT의 라이브/결과 페이지에 등재됩니다. 대회 종료 후 아래 순서로 조회하세요.

1) SPCT 기록조회 바로가기

  1. 위의 사진 클릭
  2. 이름 또는 배번호 입력
  3. 개인 기록(대개 Net Time 기준)과 코스별 순위 확인, 기록증(PDF/이미지) 저장

SPCT 결과 화면에는 “코스별 Net Time 기준 순위이며 공식 순위와 다를 수 있음”이라는 주의 문구가 표기됩니다. 안내에 따라 확인해 주세요.

2) 빠르게 찾는 팁

  • 동명이인 대비: 배번호 검색을 우선
  • 표기 차이: 띄어쓰기/영문 표기도 시도
  • 반영 시점: 대회 당일 저녁~익일 새벽 사이 순차 반영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차를 두고 재조회

완주 사진 찾기(포토스포츠)

대회일 이후 포토스포츠 스케줄 페이지에서 대회명을 선택하면 배번·얼굴 인식 기반으로 완주 사진을 조회·구매할 수 있습니다. 기록증과 함께 사진을 묶어 인증 포스트를 만들면 레이스 리포트가 한층 보기 좋아집니다.


참가자 유형별 레이스 플랜

5km(입문·완주형)

  • 0~1km: 워밍업 페이스로 호흡 안정
  • 1~3km: 안정 페이스 유지(혼잡 구간 과속 금지)
  • 3~5km: 반환 이후 템포 업, 라스트 500m 스퍼트

10km(기록 도전형)

  • 0~3km: 목표 페이스+5초/km 내외로 여유 확보
  • 3~7km: 바람·급수 구간에서 케이던스 유지
  • 7~10km: 체력 확인 후 단계적 가속, 피니시 스퍼트

하프(균형·기록형)

  • 0~5km: 목표 페이스+5~10초/km로 보수적 진입
  • 5~15km: 급수 짧고 자주, 심박 안정(오버페이스 금지)
  • 15~피니시: 3~4km에 걸친 점진 가속으로 네거티브 완성

장비·복장·리커버리 팁

  • 러닝화: 로드용(쿠셔닝·안정성 균형형)
  • 의류: 11월 초 일교차 대응을 위해 얇은 윈드자켓·암 슬리브 레이어드
  • 보조품: 바셀린(마찰 방지), 모자/선글라스(일사·바람 대비)
  • 기록장치: 듀얼 GPS 워치가 있으면 고층/다리 구간에서도 트랙 안정성 유리
  • 회복: 완주 30분 내 수분·탄수·단백 보충, 종아리·햄스트링 중심 스트레칭

자주 묻는 질문(FAQ)

Q. 기록은 언제부터 조회가 가능한가요?
A. 보통 대회 당일 저녁부터 익일 새벽 사이 순차 반영됩니다. 반영이 늦으면 수 시간 간격으로 재조회해 보세요. 공식 기준은 SPCT 결과 페이지입니다.

Q. 사진은 어디서 찾나요?
A. 포토스포츠 스케줄에서 대회 선택 후 배번 또는 얼굴 인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회명과 일시·장소가 명시되어 있어 찾기 쉽습니다.

Q. 최종 공지는 어디를 기준으로 하나요?
A. 러닝 캘린더·블로그 등에도 정보가 있으나, 최종 기준은 주최 측 공지와 타이밍·포토 서비스에 올라오는 당일 안내입니다. 특히 출발 시각·동선은 전날 공지로 재확인하세요.


마무리: 기록확인까지 매끄럽게

전마협 대전 코리아 마스터즈 최강전은 접근성 좋은 도심 코스에서 기록과 경험을 모두 챙길 수 있는 레이스입니다. 이 글의 순서대로 준비해 보세요.
접수 확인 → 집결·출발 타임테이블 체크 → 코스 전략 수립 → 완주 → SPCT에서 기록확인 → 포토스포츠로 사진 찾기.
완주 직후 기록증을 저장하고, 다음 목표 페이스를 설정해 보시면 다음 레이스 준비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올가을 대전엑스포시민광장에서 여러분의 베스트를 기원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