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패스 카드사별 신청 방법 총정리

K-패스를 이용하려면 ‘K-패스 등록 가능한 카드사’에서 지정 교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현재 지원되는 주요 카드사와 신청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카드사 | 신청 경로 | 앱 내 신청 메뉴 경로 | 발급 조건 |
---|---|---|---|
하나카드 | 하나카드 앱 / 홈페이지 / 은행 창구 | ‘혜택 → 교통 → K-패스 전용 카드’ 선택 | 만 19세 이상 |
우리카드 | 우리WON 앱 / 홈페이지 / 지점 | ‘혜택/라이프 → 교통카드 → K-패스’ | 만 19세 이상 |
NH농협카드 | NH올원 앱 / 홈페이지 / 지점 | ‘생활혜택 → 교통비 환급’ 메뉴 | 만 19세 이상 |
KB국민카드 | KB Pay 앱 / 국민은행 지점 | ‘전체 서비스 → 교통카드 → 환급형 등록’ | 일부 대상 한정 |
※ 주의: 카드를 단순히 발급받는 것으로는 환급이 불가능합니다.
K-패스 등록 완료 → 교통카드로 사용 순으로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 K-패스 환급 예상 계산기 예시
월별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따라 얼마나 환급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보세요.
📈 환급 예상 시뮬레이션 (2025 기준)
월 이용 횟수 | 일반 환급 (20%) | 청년 환급 (30%) | 저소득층 환급 (53%) |
---|---|---|---|
15회 | 약 6,000원 | 약 9,000원 | 약 15,900원 |
30회 | 약 12,000원 | 약 18,000원 | 약 31,800원 |
45회 | 약 18,000원 | 약 27,000원 | 약 47,700원 |
60회 | 약 24,000원 | 약 36,000원 | 약 63,600원 |
※ 단일 요금 기준 1,250원 적용 / 거리 비례제 적용 지역은 환급액 달라질 수 있음

💡 한 달에 버스/지하철을 60번 이상 타는 청년이라면 최대 3만 6천 원 환급!
→ 실질적 교통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큽니다.
🗺 지역별 K-원패스 연계형 정기권 요금표

K-원패스는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지역 정기권’ 형태로 먼저 시행되고 있으며,
이들 제도는 향후 ‘전국 통합형 K-원패스’로 통합될 예정입니다.
지자체 | 제도명 | 월 요금 | 청년 할인가 | 적용 교통수단 |
---|---|---|---|---|
서울시 | 기후동행카드 | 65,000원 | 약 49,000원 | 지하철, 시내버스, 따릉이 포함 |
경기도 | 더 경기패스 | 65,000원 | 약 48,000원 | 지하철(1~4호선), 광역·마을버스 포함 |
인천광역시 | I-패스 | 55,000원 | 미정 | 인천지하철, 시내·광역버스 등 |
부산광역시 | 부산 에코패스(예정) | 60,000원 예정 | 미정 | 부산 도시철도, 시내버스 |
※ 지역별 정기권은 거주지 제한 없이 구매 가능하나, 적용 노선은 각 지자체 한정입니다.
※ 2025년 하반기부터 일부 통합 이용 가능성 논의 중.
🛠 실전 꿀팁: K-패스 환급액 최대화 전략

- 월 15회 이상은 반드시 충족하자!
→ 그 이하 사용 시 환급 전혀 없음! - 환급 대상 확인은 카드사 앱에서 가능
→ 본인 등급(청년/저소득층) 등록 여부 체크 필수 - 실시간 이용 내역은 T-Money 앱 or 교통카드 앱에서 확인
→ 몇 회 남았는지 체크하며 계획적으로 사용 - 가장 자주 타는 교통수단에 맞춰 카드 선택
→ 수도권 대중교통 특화카드 vs 전국 호환 카드 등 구분 - 지역 정기권은 환급형과 중복 불가!
→ 정기권을 이용하는 달에는 K-패스 환급은 받을 수 없음
🎯 마무리: ‘교통비 절약’, 지금이 최적의 기회!

K-원패스와 K-패스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환급형 vs 무제한 정기권이라는 뚜렷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교통 이용 패턴이 ‘매일 정기적’이라면 기후동행카드나 지역 정기권이,
‘주 2~3회 수준’이라면 K-패스 환급형 카드가 정답입니다.
요즘처럼 물가 오를 때, 한 달에 몇만 원 아끼는 건 결코 작은 일이 아닙니다.
카드 하나 바꾸는 것만으로도 꽤 괜찮은 절약이 시작될 수 있어요.
❓ 이어지는 자주 묻는 질문 (추가)

Q6. K-패스 등록된 카드인지 확인하려면?
A6. 카드사 앱 내 ‘K-패스 전용 카드’ 또는 ‘교통비 환급 대상 카드’ 문구 확인
Q7. 자녀 명의로도 K-패스 등록이 가능한가요?
A7. 만 19세 이상만 대상이므로 중·고등학생은 대상 아님
Q8. 지역 정기권을 쓰다가 K-패스로 전환 가능한가요?
A8. 가능하나, 정기권 해지일 기준 이후부터 K-패스 환급 횟수 계산됨
Q9. 환급액 세금으로 잡히나요?
A9. 아닙니다. 교통비 환급은 비과세로 처리됩니다
Q10. 한 달에 여러 카드로 나눠서 써도 되나요?
A10. 아니요. 동일 카드로만 이용해야 누적 환급이 계산됩니다
이 글은 2025년 5월 최신 기준 정부 및 카드사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교통비 절약,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