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O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환율이 특정 구간(barrier)에 도달하는 경우 옵션이 발효(KI; Knock-In)되거나 소멸(KO; Knock-Out)되는 조건이 부과된 비정형적인 통화옵션 거래의 일종이다. 수출기업의 경우 옵션기간 중 환율이 KI 상한 이상으로 상승하면 콜옵션(매도)이 발효되고 KO 하한 이하로 하락하면 풋옵션(매입)이 소멸되는 구조를 가진다. 시장 환율이 콜 옵션의 KI 수준에 도달하지 않는 한 행사환율보다 높은 환율로 수출대금을 매도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장 환율이 KI 상한을 상회하면서 콜옵션이 발효되고 환율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기업은 옵션 만기 시 수출대금의 2배 이상을 시장 환율보다 낮은 행사환율로 매도해야 하기 때문에 거액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장 환율이 KO 하한을 하회하면 풋옵션이 소멸되어 환리스크에 노출 된다.
예를 들어 행사환율이 1,100원/달러이고 KI 상한이 1,200원/달러, KO 하한이 900원/달러라고 하면 수출업자는 옵션 만기 시에 환율이 950원/달러일 경우 달러당 150원(1,100 950)의 이득을 본다. 그러나 만일 1,300원/달러인 경우 약정수출대금의 2배(예: 1백만 달러)를 달러당 1,100원에 수취하여 총 (1,300-1,100) × 1백만달러 = 2억 원의 손실을 보며, 만기 환율이 800원/달러인 경우 은행이 풋옵션을 1,100원/달러에 수출기업에 행사하여 수출기업은 달러당 300원 (1,100-800)의 손실을 보게 된다.
상기 사항은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경제금융용어 700선에서 소개된 내용 중 하나이며, 경제금융용어 700선의 파일을 다운받고자 하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이 외에도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서적으로 출력해서 쉽게 받아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KIKO(Knock-In Knock-Out)는 특정 환율 조건을 만족할 때만 효력이 발생하는 파생금융상품으로, 주로 수출입 기업이 환율 변동에 대비하여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KIKO는 사전 설정된 환율에 도달하면 계약이 활성화(Knock-In)되며,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계약이 종료(Knock-Out)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환율 변동에 따라 기업의 손익이 달라집니다.
KIKO는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환율 변동으로 많은 기업들이 큰 손실을 본 사례로 유명합니다. 특히 예상과 다른 환율 변동이 일어날 경우, 기업은 KIKO 계약으로 인해 큰 재정적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KIKO와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할 때는 충분한 리스크 관리와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다른 용어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이용 바랍니다.
달려라 런린이 4화 - 땀쟁이 러너의 여름나기: “축축한 여름을 건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안녕하세요. 달려라…
2025 청양군 체육회장기 전국마라톤 기록확인 가이드 칠갑호의 가을 바람을 가르며 달린 멋진 하루, 이제는 청양군…
제7회 유성국화마라톤 기록확인 완벽 가이드 유성구 유림공원과 갑천변을 달린 축제가 끝났습니다. 이제 남은 일은 유성국화마라톤…
2025 부산바다마라톤 기록확인 완벽 가이드 광안대교 상층부를 달려 피니시로 내려오는 특별한 하루, 이제는 결과를 확인하고…
2025 한국시리즈 예매 방법·가격 총정리 (한화 vs LG) 한화와 LG가 맞붙는 한국시리즈를 예매 일정부터 예매…
This website uses cookies.